금융권 취업을 준비한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의 모든 것!
금융권 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이라면 '테이퍼링(Tapering)'과 '긴축 정책(Quantitative Tightening, QT)'이라는 용어를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특히,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필기시험뿐만 아니라 면접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주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의 개념을 정확히 정리하고, 두 용어의 차이점, 그리고 실제 사례를 통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테이퍼링(Tapering)이란?
테이퍼링(Tapering)은 중앙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시행했던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테이퍼링의 핵심 포인트
- ✔️ 양적완화(QE)의 종료 신호
- ✔️ 중앙은행이 시장에 공급하는 유동성 축소
- ✔️ 주로 국채 및 MBS(주택저당증권) 매입 규모를 줄이는 방식
테이퍼링은 기준금리 인상과는 다릅니다.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직접적으로 자산을 매입하여 시중에 돈을 공급하는 정책인데, 테이퍼링은 이 매입 속도를 줄이는 과정입니다. 즉, 유동성을 줄이지만, 직접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것은 아닙니다.
테이퍼링은 '점진적인 축소'의 의미로, 중앙은행이 시장에 제공하는 유동성의 속도를 늦추는 것입니다.
2. 긴축 정책(Quantitative Tightening, QT)이란?
긴축 정책(QT, Quantitative Tightening)은 테이퍼링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정책으로,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던 자산(국채, MBS 등)을 시장에 매각하여 시중의 유동성을 적극적으로 회수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긴축 정책의 핵심 포인트
- ✔️ 중앙은행이 보유한 채권을 만기 시 재투자하지 않거나 매각
- ✔️ 본격적인 유동성 축소로 통화량 감소
- ✔️ 금리 인상과 함께 진행되는 경우가 많음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의 차이
구분테이퍼링(Tapering)긴축 정책(QT)
개념 | 양적완화(QE) 속도 조절 | 중앙은행이 직접 자산 매각 |
실행 방식 | 국채 및 MBS 매입 축소 | 보유 자산 매각 및 만기 후 재투자 중단 |
유동성 영향 | 증가 속도가 둔화됨 | 시장에서 자금이 직접 줄어듦 |
경제적 영향 | 점진적 금리 상승 압박 | 금리 상승 및 긴축 효과 강화 |
쉽게 말해, 테이퍼링은 돈을 덜 푸는 것, 긴축 정책은 돈을 걷어들이는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3.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의 실제 사례
최근 경제사에서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이 진행된 대표적인 사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2013년 및 2022년 정책 변화입니다.
(1) 2013년 버냉키 쇼크 (Ben Bernanke Shock)
- 배경: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연준은 대규모 양적완화(QE)를 시행했습니다.
- 테이퍼링 발표: 2013년 당시 연준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Ben Bernanke)가 의회에서 테이퍼링 가능성을 언급하자, 글로벌 금융시장이 급격히 흔들렸습니다.
- 시장 반응: 신흥국에서 자금 유출이 발생하며 금융 불안이 심화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버냉키 쇼크"로 불리며, 테이퍼링이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버냉키 쇼크는 중앙은행의 단순한 발표만으로도 글로벌 금융시장이 크게 요동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입니다.
(2) 2022년 연준의 공격적 긴축 정책
- 배경: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미국 연준은 초저금리 정책과 양적완화(QE)로 시장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했습니다.
- 테이퍼링 발표: 2021년 말부터 연준은 자산 매입을 줄이는 테이퍼링을 시작했습니다.
- 긴축 정책(QT) 시행: 2022년부터는 국채와 MBS를 적극적으로 매각하는 QT를 시행하였으며, 동시에 기준금리를 급격히 인상했습니다.
- 시장 반응: 나스닥과 S&P 500 지수가 급락했으며,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했습니다.
이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테이퍼링이 시작되면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QT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자산 가격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식 시장
- 유동성 감소로 인해 성장주(특히 기술주)에 부정적 영향
- 고금리 환경에서 배당주 및 가치주 선호도 증가
(2) 채권 시장
- 중앙은행이 국채를 덜 매입하거나 매각하면 국채 가격 하락(금리 상승)
- 금리가 오르면 채권 투자 매력도 상승
(3) 외환 시장
- 미국이 긴축 정책을 시행하면 달러 강세가 발생
- 신흥국 통화 가치 하락 및 자금 유출 가능성 증가
(4) 부동산 시장
- 금리 상승으로 인해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오르며 부동산 시장 둔화
- 투자 수요 감소로 주택 가격 조정 가능성
5. 취준생이 알아야 할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
은행 필기시험 및 면접에서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은 자주 등장하는 주제입니다.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비하면 좋습니다.
🔎 필기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개념 정리
-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의 차이점
- 양적완화(QE)와 긴축 정책(QT)의 영향 비교
- 금리 상승과 금융시장 변화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은 금융시장의 유동성 조절과 금리 변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은행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정리해두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금융권 취업을 준비하는 여러분, 이 글이 테이퍼링과 긴축 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면접 준비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퐈니논다] 퐈니의 경제 공부 > 📖 경제 용어 쉽게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리스크 관리: 주요 유형과 대응 전략 - 신용 리스크, 시장 리스크 등 완벽 정리 (4) | 2025.03.21 |
---|---|
[은행 필기 준비] 디지털 화폐 vs 암호화폐, 완벽 비교 분석 (5) | 2025.03.19 |
[은행 필기 준비] 코픽스(COFIX)란? 금리 변동의 핵심 지표 완벽 정리 (2) | 2025.03.17 |
PER과 PBR, 주식 투자에서 꼭 알아야 할 지표 (2) | 2025.03.07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란? – 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의 역설적 상황 (5) | 2025.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