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일상 속 즐거움을 찾는 '퐈니논다'
[퐈니논다] 경제 & 재테크/📖 경제 용어 쉽게 배우기

PER과 PBR, 주식 투자에서 꼭 알아야 할 지표

by 퐈니퐈니 2025. 3. 7.
반응형

주식을 평가할 때 단순히 주가만 보면 정확한 가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같은 10만 원짜리 주식이라도 어떤 기업은 비싸고, 어떤 기업은 저평가된 상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PER(주가수익비율)PBR(주가순자산비율)이다.

 

이 두 가지 지표는 주식의 현재 가치가 적정한지,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특히 가치 투자를 할 때 이 두 가지 수치는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핵심 지표다.

 

그렇다면 PER과 PBR은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PER(주가수익비율)이란?

PER(Price to Earnings Ratio)의 정의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벌어들이는 수익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낸다.

PER 공식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주가가 100,000원이고, 주당순이익(EPS)이 10,000원이라면?

PER = 100,000 ÷ 10,000 = 10배

이 뜻은 현재 주가 수준에서 이 기업이 벌어들이는 순이익을 기준으로 10년 동안 순이익을 유지해야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다.


PER의 해석 방법

 

PER이 낮다 (예: 5~10배)

  • 기업의 이익 대비 주가가 저렴하다는 의미
  •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기업을 매수할 수 있는 기회
  • 하지만 낮은 PER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님 (성장성이 낮을 수도 있음)

PER이 높다 (예: 30배 이상)

  • 기업의 이익 대비 주가가 높게 평가된 상태
  • 시장이 이 기업의 미래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을 가능성이 큼
  • 하지만 과도하게 높은 PER은 거품이 낀 것일 수도 있음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PER이 12배이고, 미국 테슬라의 PER이 100배라면?

  • 삼성전자는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지만 성장 속도는 상대적으로 완만
  • 테슬라는 현재 수익은 적지만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

즉, PER은 기업의 현재 가치뿐만 아니라 시장이 미래를 어떻게 평가하는지도 반영하는 지표라고 볼 수 있다.


PBR(주가순자산비율)이란?

PBR(Price to Book Ratio)의 정의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값이다. 즉, 기업이 가진 순자산(자기자본)에 비해 주가가 몇 배인지를 나타낸다.

PBR 공식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주가가 100,000원이고, 주당순자산가치(BPS)가 50,000원이라면?

PBR = 100,000 ÷ 50,000 = 2배

이 의미는 이 기업이 보유한 자산 대비 주가가 2배 높게 평가되고 있다는 뜻이다.


PBR의 해석 방법

PBR이 낮다 (예: 1 미만)

  • 기업의 주가가 순자산보다 저평가된 상태
  • 기본적으로 "헐값"에 거래된다고 해석할 수도 있음
  • 하지만 낮은 PBR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님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낮을 수도 있음)

PBR이 높다 (예: 3 이상)

  •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보다 주가가 높게 평가됨
  • 시장이 해당 기업의 미래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PBR이 1.5배이고, 네이버의 PBR이 5배라면?

  • 삼성전자는 보유한 자산 대비 주가가 적절한 수준
  • 네이버는 보유 자산 대비 주가가 높지만, 성장성을 반영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PER과 PBR을 활용하는 방법

(1) 저평가된 주식 찾기

PER과 PBR이 모두 낮은 기업을 찾으면 시장에서 저평가된 주식을 발굴할 수 있다.

 

 PER이 낮고 PBR이 낮다 → 저평가된 기업
 PER이 높고 PBR이 낮다 → 이익은 높지만 성장성 부족
 PER이 낮고 PBR이 높다 → 자산 가치는 높지만 수익성이 낮음
 PER이 높고 PBR이 높다 → 고평가된 성장주

 

예를 들어, PER 8배, PBR 0.8배인 기업이 있다면?

  • 이익 대비 주가가 낮고, 자산 대비 주가도 낮아 저평가 가능성이 큼
  • 하지만 기업이 왜 저평가되었는지(업황 부진, 실적 악화 등)도 반드시 분석해야 함

(2) 산업별 PER과 PBR 기준 다르다

PER과 PBR은 산업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

기술주(IT, AI, 반도체 등)

  • 미래 성장성을 반영해 PER이 높은 경우 많음
  • PBR도 3배 이상으로 높은 편

금융주(은행, 보험 등)

  • 실적이 안정적이라 PER이 낮음 (8~12배)
  • PBR도 보통 1 이하

전통 제조업(자동차, 철강, 조선 등)

  • 경기 영향을 많이 받아 PER 변동성이 큼
  • PBR이 낮으면 기업 자산 대비 저평가 가능성

PER과 PBR은 함께 봐야 한다

PER과 PBR은 단독으로 볼 것이 아니라 함께 분석해야 정확한 투자 판단이 가능하다.

 

PER이 낮고 PBR이 낮다 → 저평가 가능성이 크지만, 저평가된 이유 분석 필요
PER이 높고 PBR이 낮다 → 이익은 크지만 자산 가치 대비 주가가 낮음
PER이 낮고 PBR이 높다 → 자산 가치는 높지만 수익성이 낮은 기업
PER이 높고 PBR이 높다 → 고평가된 성장주 (미래 성장성 반영)

 

투자를 할 때 PER과 PBR만 보고 매수하는 것은 위험하다. 기업의 실적, 업황, 성장 가능성, 배당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PER과 PBR은 어디까지나 참고 지표이며, 이를 활용해 저평가된 좋은 기업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