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리카도모형
① 정의
리카도모형은 단 하나의 생산요소인 노동을 사용하여 2개의 서로 다른 재화의 생산을 행하는 모형
② 비교우위의 결정
무역은 국가 간 재화의 상대가격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재화의 상대가격차이는 리카도모형에서 노동생산성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예시)x재 산업의 노동생산성이 외국에 비해 높은 경우 x재 생산을 더 싸게 생산 할 수 있게 되어 x재 산업에서 비교우위에 있게 된다.
③ 무역패턴
리카도모형에서 무역 패턴은 양국의 무역 전 상대가격의 차이로부터 결정
무역 전 본국의 x재의 상대가격이 외국의 x재 상대가격보다 낮다면 본국은 x재를 수출하고 y재를 수입하며, 반대로 외국은 x를 수입하고 y재를 수출한다.
④ 완전특화
리카도모형은 노동생산성이 일정함을 가정하며 생산요소가 노동을 유일함을 가정
한 국가의 생산가능곡선은 직선으로 나타나며 교역이 발생하면 비교우위를 가진 하나의 재화에 완전 특화하여 생산하게 된다.
⑤ 무역의 이익
각 재화의 상대가격차이에 의해 교역이 발생하게 된다. 각국은 교역에 따라 무역의 이익을 가지게 되는데 무역의 이익은 국제상대가격과 국내상대가격과의 격차가 클수록 커지게 된다.
⑥ 리카도의 비교생산비설의 문제점
- 생산요소가 노동 한가지 밖에 없다고 가정
상품생산에 있어서 생산요소 간 대체관계를 전혀 감안하지 않은 것은 비현실적
- 한계생산물 체감의 법칙을 무시하고 있다. 요소의 투입량과 산출량과의 고정불변의 비례관계를 전제하고 있다.
- 교역조건의 범위는 결정하나 구체적인 교역점을 알 수 없다.
반응형
'[퐈니논다] 퐈니의 경제 공부 > 📊 투자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엔비디아 주가 전망: AI 시장의 선두주자, 어디로 향할 것인가? (4) | 2025.02.27 |
---|---|
2025년 미국 배당주 투자 가이드 – 수익 극대화 전략 (5) | 2025.02.20 |
과점시장. 독자적 행동이론(꾸르노모형,베르트랑모형,굴절수요곡선모형) (1) | 2023.11.02 |
[거시경제학] 세이의 법칙과 대부자금시장 (0) | 2023.10.16 |
[펀드상품 분석 2편] 채권형펀드 VS 인덱스펀드 (1) | 2022.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