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새로운 인사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최근 떠오르는 개념이 바로 S·I·R·E·N 인사 전략이다. 이는 기업이 인재를 선발하고 육성하는 방식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지속 가능성, 혁신, 회복력, 참여, 네트워킹을 강조한다. 이번 글에서는 S·I·R·E·N 인사 전략이 무엇인지, 기업들이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S·I·R·E·N 인사 전략이란?
S·I·R·E·N은 다섯 가지 핵심 요소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인사 전략 개념이다. 이 전략은 단순한 인재 채용을 넘어 기업이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한 인재를 확보하고 육성하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 S (Sustainability, 지속 가능성)
기업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중심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인재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기적인 성과보다 장기적인 기업 가치 창출에 기여할 인재를 찾는 것이 핵심이다.
✔️ I (Innovation, 혁신)
디지털 전환(DX), AI,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인재를 중점적으로 선발한다. 변화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방식을 지닌 인재가 필요하다.
✔️ R (Resilience, 회복력)
글로벌 경기 변동, 팬데믹, 공급망 위기 등 다양한 불확실성 속에서 빠르게 적응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인재가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위기관리 능력과 정신적 회복력이 뛰어난 인재를 찾는 것이 핵심이다.
✔️ E (Engagement, 참여)
단순히 업무를 수행하는 인재가 아니라 기업의 비전과 목표에 공감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인재를 중요하게 여긴다. 기업과 직원 간의 상호 신뢰와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N (Networking, 네트워킹)
내부 협업뿐만 아니라 외부 관계도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가 기업의 성장에 기여한다.
기업들은 S·I·R·E·N 인사 전략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1️⃣ 지속 가능한 ESG 중심 인재 채용 확대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기업들은 ESG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환경·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인재를 선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친환경 기술 개발을 위한 전문 인력을 적극 채용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천할 수 있도록 내부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2️⃣ AI·빅데이터 전문가 영입 증가
📌 네이버, 카카오, 현대차 등 IT 및 제조 기업들은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한 혁신 인재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AI 기반 서비스가 확대됨에 따라, AI 연구원,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머신러닝 엔지니어 등의 직군 채용이 급증하고 있다.
3️⃣ 위기 대응 능력을 갖춘 리더 육성
📌 LG전자, 포스코 등은 글로벌 시장 변동성과 공급망 불안정에 대비하기 위해 위기 대응 경험이 있는 인재를 중용하고 있다. 특히 위기관리·리스크 매니지먼트 전문가를 채용하거나 내부적으로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4️⃣ 기업 문화와 비전에 공감하는 인재 선발
📌 스타트업 및 글로벌 기업에서는 기업의 비전과 문화에 맞는 인재를 선발하는 방식이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구글, 애플, 테슬라 등은 직원들이 회사의 미션과 가치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며, 이에 맞는 채용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5️⃣ 네트워킹이 강한 인재를 우선 채용
📌 최근 기업들은 협업 능력이 뛰어난 인재를 채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기업들은 다양한 국가 및 업계 관계자들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인재를 우선적으로 채용하며, 스타트업들도 외부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형 인재를 중용하고 있다.
S·I·R·E·N 인사 전략이 중요한 이유
✔️ 기업의 지속 가능성 확보
✔️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 적응
✔️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성장 가능
✔️ 기업과 직원 간의 유대감 및 충성도 향상
✔️ 글로벌 협업 및 외부 네트워크 확장
기업들이 더 이상 단순한 ‘스펙 중심’ 채용에서 벗어나 장기적으로 함께 성장할 인재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S·I·R·E·N 인사 전략은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퐈니논다] 퐈니의 경제 공부 > 📖 경제 용어 쉽게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고가격제와 최저가격제란? 시장 가격을 조정하는 정부 개입의 두 얼굴 (1) | 2025.02.17 |
---|---|
비관세장벽(Non-Tariff Barriers, NTBs) – 글로벌 무역의 숨은 장벽 (4) | 2025.02.17 |
토핑경제(Topping Economy), 선택의 시대가 열리다 (4) | 2025.02.12 |
웩더독(Wag the Dog)이란? 웩더독의 정의와 비슷한 경제용어 정리 (9) | 2025.02.09 |
S공포(S-Scare)가 뭐길래 경제 뉴스에 계속 나올까? (5) | 2025.02.06 |
댓글